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정보통신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 자료 KW
- istra1622
- 2020년 12월 31일
- 1분 분량
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정보통신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 자료
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정보통신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
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정보통신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지식정보강국건설을위한정보통신정책방향에관한고찰
I. 지식정보사회의 도래
Ⅱ. 지식정보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과 성과
1. 종합적인 국가정보화 추진체계 마련
2.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인프라를 구축
3. IT산업이 우리 경제의 핵심산업으로 발전
Ⅲ. 새로운 성장전략의 모색
1. 주요 선진국의 동향
2. 최근 우리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
3. 한국 실정에 맞는 새로운 성장전략의 모색
Ⅳ. 우리의 미래를 위한 IT정책 방향
1. 초고속정보통신 인프라 고도화
2. IT를 활용한 국가사회 전반의 생산성과 신뢰성 제고
3. 초고속정보통신인프라를 활용한 IT신산업 육성
4. 고급 IT전문인력 양성과 핵심기술 개발
5. 신상품과 신시장 개척으로 IT수출확대 추진
Ⅴ. 맺음말
Ⅴ. 21세기 지식정보화를 위한 우리의 다짐
▶ 우리의 정보화 성과는 이미 세계가 인정하고 있음
- OECD는 2001년 9월 보고서에서 “한국을 스웨덴, 미국, 핀란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4대 지식기반 경제(Knowledge- Based Economies) 국가로 평가
- 한편 일본 지지통신이 발행하는 세계주보는 “초고속망 보급률에 있어서 한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했다“며 “이는 IT입국을 내건 한국정부가 거둔 성과“ 라고 해석
o 이는 IMF 이후 경제회복의 근본축을 IT산업에 두어 온 정부정책, 지식정보시대와 잘 부합되는 우리의 국민성, 미국 등 세계경제의 호황 등에 그 원인이 있음
▶ 최근 IT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여파로 국내경제도 침체되고 있음
o IT산업이 지식정보사회의 핵심 기반산업이기 때문에 경제
회복도 IT산업 육성과 발전을 통해 이룩될 수 밖에 없음
▶ 정부는 앞으로 IT를 기반으로 생명공학, 나노기술, 재료공학 등 관련 기술을 통합, 기술혁신의 폭을 확대하고 전문인력을 적극 양성하여
⇒ 우리 나라를 21세기 지식정보강국인 e-KOREA로 만들어 나가겠음
[문서정보]
문서분량 : 1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정보통신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
파일이름 : 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정보통신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hwp
키워드 : 지식정보강국,건설을,위한,정보통신,정책,방향에,관한,고찰
자료No(pk) : 16130057
Kommentarer